서문- 조슈와 무파와드 폴
개요
1. 칼 마르크스는 사회주의 혁명이 자본주의가 더 발전한 국가들에서 먼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왜 사회주의 혁명은 자본주의 발전 초기 단계에 불과한 러시아와 중국에서 먼저 일어났을까?
2. 1956년부터 1978년 까지의 중국의 발전이 사회주의적이었는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2(A). 국영 산업 부문에서 생산 관계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2(B). 집단 농업 부문의 생산 관계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3. 1949년부터 1978년까지 상부구조가 어떻게 봉건제와 자본주의 체제에서 사회주의 체제로 변화했으며, 이러한 변화에 문화대혁명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가?
4. 중국의 사회주의 발전 과정에서 어떤 추가적인 성과가 있었나?
5 .중국의 사회주의 발전 전략은 무엇이었고, 중국의 사회주의 발전은 다른 식민지 및 반식민지 국가의 자본주의 발전 전략과 어떻게 달랐나?
6. 중국은 사회주의 건설 과정에서 어떤 도전과 어려움에 직면했나?
7. 1976년 반혁명 세력이 정권을 장악한 후 중국과 중국 인민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나? 7-1 정치권력 장악과 자본주의 '개혁' 실행
7-2 생산관계의 근본적 변화
7-3 상부구조의 근본적 변화
7-4 중국 자본주의 "개혁개방"과 제국주의 세계
7-5 중국 자본주의 “개혁개방”과 중국의 노동자계급 투쟁
7-6 중국 자본주의 "개혁개방"이 중국의 토지, 자원, 환경에 미친 영향
7-7 중국 자본주의 "개혁개방" 속에 깊은 모순
7-8 국제 사회주의 혁명속에 중국과 중국 인민
결론
Q2(B) 집단 농업부문에서 생산 관계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토지개혁 말기에 접어들 즈음, 중국공산당 내부에는 중국 농업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존재했다. 이들 상반된 견해 사이의 논쟁은 사회주의 경제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관한 마오쩌둥과 류사오치(그리고 이후에는 덩샤오핑) 간의 근본적인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산업 부문에서 생산수단이 민간 부문으로부터 국가로 이전될 때, 중국공산당의 구성원들은 기본적으로 이에 동의했으나, 일부 구성원들(주로 류사오치와 그의 추종자들)은 그 이전이 좀 더 천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농업 부문의 발전에 이르러서는, 마오와 류사오치 사이의 차이는 날카롭고 본질적이었다. 류사오치의 입장에서 보면, 토지개혁과 산업 부문 생산수단의 국가 이전 이후, 중국의 주요 모순은 “선진적인 사회 제도”(즉 생산관계)와 “낙후된 사회적 생산력” 사이에 있다고 보았으며, 이는 1956년 중국공산당 제8차 전국대표대회의 결의문에 명확히 표현되어 있다.[1] 그러므로 류사오치(그리고 후에 덩샤오핑)에 따르면, 중국공산당의 주요 임무는 생산력 발전에 전념하는 것이었다. 반면 마오쩌둥은 사회 제도(생산관계와 상부구조)가 결코 선진적이지 않으며, 경제 토대 내부뿐만 아니라 경제 토대와 상부구조 사이에도 여전히 모순이 존재한다고 믿었다.[2] 이러한 마오와 류사오치 사이의 철학적 차이는 그들로 하여금 중국의 사회주의 발전을 전혀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만들었다.
마오쩌둥은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적 유물론의 확고한 신봉자였다. 그는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에서 생산력이 주요한 측면이며, 이론과 실천의 모순에서는 실천이 주요한 측면이고, 경제 토대와 상부구조의 모순에서는 경제 토대가 주요한 측면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마오는 또한 일정한 조건하에서는 생산관계, 이론, 상부구조와 같은 요소들이 전면에 나서서 주요하고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었다. 마오는 사람들이 이러한 각각의 위치들(예: 생산력 대 생산관계, 이론 대 실천, 경제 토대 대 상부구조)을 변화 가능한 것이 아니라 고정된 것으로 간주할 때, 그들은 변증법적 유물론이 아니라 기계적 유물론의 관점을 취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기계적 유물론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생산관계, 이론, 상부구조가 모순의 지배적인 측면이 될 수 없다고 믿는 것이었다.
마오쩌둥은 기계적 유물론의 관점을 취하지 않았다. 그는 일정한 조건하에서는 생산력과 생산관계가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며, 생산관계가 변화의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믿었다. 예를 들어, 생산관계가 오랫동안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면, 생산력은 정체되고 발전을 멈출 수 있으며, 이때 생산관계(예를 들어 혁명과 같은)의 변화가 일어나야만 생산력이 다시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생산관계가 주요하고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3]
마오는 또한 상부구조와 경제 토대 사이의 모순에서 경제 토대가 주요한 측면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는 사실이지만, 일정한 조건에서는 상부구조가 주요한 측면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혁명 시기에는 계급투쟁(정치적, 이데올로기적, 문화적 투쟁 등 상부구조 영역에서의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에 의해 생산관계가 변화하게 되며, 이 상부구조 내에서의 투쟁이 생산관계 변화를 이끄는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변증법적 유물론은 사회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어 마오의 사고의 기초였다. 그것은 장기적인 혁명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을 구성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사회주의 전환기 동안 정치적·경제적 발전 전략을 형성하는 데에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봉건 이데올로기가 그 영향력을 잃기 위해서는, 그것의 물질적 기반인 봉건적인 토지 소유 제도가 파괴되어야 했다. 그러나 토지개혁이 봉건적 토지 소유 제도를 종식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마오쩌둥은 봉건 이데올로기가 여전히 강한 지속력을 가지고 있으며, 만약 이를 방치할 경우 새로운 경제 토대 속에 쉽게 다시 뿌리내릴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봉건 이데올로기를 제거하기 위한 철저한 사상 작업이 없으면, 그것이 새로운 경제 토대의 정착을 가로막을 수 있다고 보았다.
마오는 토지개혁을 단지 농민들에게 토지를 재분배하는 수단으로만 보지 않았으며, 착취가 왜 잘못된 것인지, 지주가 농민의 노동 결과를 강제로 착취하는 것이 왜 부당한지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사회운동으로 보았다. 농민들이 이러한 새로운 사고방식을 받아들이게 되면, 그들은 과거의 부정을 바로잡고자 하는 결의와 힘을 얻게 되고, 토지개혁을 완수하며 농업의 집단화 운동에 참여하는 데 에너지를 얻게 되었다.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중국 농촌의 새로 해방된 지역들에서 실시된 토지개혁은 수억 명의 농민들에게 생애 처음으로 자신들의 토지를 갖게 해주었다. 비록 1인당 평균 토지 보유 면적은 0.2헥타르에 불과했지만, 농민들은 새로 소유하게 된 땅을 큰 열정을 가지고 경작하였다. 1949년부터 1952년 사이에 곡물과 면화 생산량은 모두 빠르게 증가했다. 그러나 1953년이 되자 곡물 생산은 정체되었고 면화 생산은 감소하기 시작했다.[4]
100년에 걸친 전쟁과 지주의 방치로 인해, 중국의 농업을 위한 자연환경은 매우 취약해졌고, 경작 가능한 땅은 부족하고 비옥하지도 않았다. 관개 시설과 같은 농업 기반시설은 완전히 파괴된 상태였다. 해방 이전에는 가뭄과 홍수 같은 자연재해가 광범위하게 발생했고, 기근은 흔한 일이었다. 1953년에 토지개혁이 완료된 후, 대부분의 농민들—3억 명 이상—은 작고 질 낮은 토지를 소유했을 뿐만 아니라 생산 수단도 거의 갖고 있지 않았다. 빈농 및 중농 계층 가구들, 즉 중국 농민의 60\~70%에 해당하는 이들 가운데 많은 사람들은 쟁기조차 소유하지 못했으며, 다른 농기구나 가축은 말할 것도 없었다. 농기구 없이 단지 열정만으로는 생산을 지속적으로 늘릴 수 없었다.
게다가 1953년과 1954년에는 홍수와 가뭄이 광범위한 농경지에 피해를 입혔다. 개별 농민들은 이러한 자연재해에 대해 무방비 상태였다. 해방 이전에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많은 농민들은 단순히 생존을 위해 인접 성(省)들로 이주해야만 했다. 토지개혁 이후에도, 거의 모든 농민들의 건강 상태는 매우 열악했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이 병들거나 사망하면 그 가족 전체가 큰 타격을 받았다. 또한 어떤 농가들은 항일 전쟁 혹은 국민당과의 전쟁에서 가족을 잃어 생계 노동력이 전혀 없는 상태이기도 했다. 농민 가족들이 이와 같은 문제들에 직면했을 때, 그들은 돈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
고리대금으로 인한 빚을 감당하지 못한 일부 농민들은 새로 얻은 땅을 팔아야만 했다. 협동조합 운동이 시작되기 전부터 농민들의 토지 매매와 사적 차용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농장 일꾼으로 고용되는 농민의 수도 늘어났다.[5]
물론 토지개혁은 농민과 지주의 주요한 모순을 해결했지만, 대부분 농민들의 물질적 생활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시급한 생산 증대의 필요성까지는 해결하지 못했다. 새로운 상황은 소규모 자급농이 안정적인 상태가 아니며 농업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도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당시 중국의 농업 상황은 오늘날 많은 식민지 및 반(半)식민지 국가들의 상황과 매우 유사했다. 농업 생산을 현대화하고 생산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은 명백했다.
중국에서는 토지개혁 이후 농업 발전을 둘러싼 투쟁이 격화되었다. 이 투쟁의 핵심은 농업 생산을 규모화하고 현대화해야 하느냐의 여부가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에 있었다. 다시 말해, 기계화가 먼저인가 집체화가 먼저인가라는 문제였다.
마오쩌둥은 농민들이 각자의 작은 땅을 하나로 묶고 제한된 생산 도구를 공유함으로써 우선 농업 생산을 증대시키고, 이후 토지를 정비하고 기반 시설을 건설하여 기계화 및 현대화를 준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에 류사오치는 토지개혁 이후 생산관계의 추가적인 변화는 불필요하며, 모든 노력을 생산력 발전에 집중해야 한다고 믿었다. 류는 중국이 철강을 충분히 생산하고, 트랙터와 기타 농업 기계 및 장비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한 이후에야 비로소 농업 생산의 현대화를 위한 조건이 마련된다고 보았다.
기계적 유물론의 관점에서는 생산력과 생산관계 사이의 모순에서 항상 생산력이 주도적 측면이며, 생산관계는 결코 주도적 측면이 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양자의 관계가 고정된 것으로 간주되며, 그렇기 때문에 류사오치는 기계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마오쩌둥은 생산관계, 즉 집체화(집산화)를 포함한 추가적인 변화가 모순의 주요 측면이 되었으며, 그것을 변화시킴으로써 생산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마오는 중국 노동 인민의 열정과 에너지를 경제 발전의 원천으로 보았다. 그는 농민들이 동원되고 의식 수준이 높아질 때, 단일 농가 수준을 넘는 규모로 생산을 조직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고 인식했다. 또한 그는 이데올로기(상부구조의 영역)가 생산관계를, 즉 개인이 소유하고 경작하던 소규모 농지를 집체화된 방식으로 전환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오는 중국 공산당 내부에서 농업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첫 번째 중대한 논쟁에서 승리했다. 토지개혁 직후부터 집체화가 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상호부조조(相互扶助組)의 형태로 생산 협력이 이루어졌고, 이어 초급 협동조합, 고급 협동조합, 그리고 마침내 1958년에는 인민공사(人民公社)가 조직되기에 이르렀다.
중국 농업에서 역사적으로 그리고 현재까지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는 경작 가능한 토지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중국은 전 세계 경작지의 9%도 채 되지 않는 토지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 세계 인구의 22%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 식량과 기타 농산물을 공급해야 한다. 1인당 경작지 기준으로 보면, 중국의 경작 가능 토지는 1무(mu), 즉 약 0.0827헥타르(1무 = 0.067헥타르)에 불과하며, 이는 세계 평균의 약 3분의 1 수준이다.
중국 혁명 전쟁이 끝났을 당시, 서방 전문가들은 중국이 자국 인구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으리라고는 전혀 기대하지 않았다. 이처럼 경작지가 매우 제한된 상황에서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집약적 경작, 즉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늘리는 방식뿐이었다.
1952년부터 1978년 사이, 중국은 농업의 집체화를 통해 경작지 단위당 수확량을 두 배로 늘리는 데 성공했다. 농업집체화는 토지개혁이 완료된 직후에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상호부조조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20가구 이상의 농민들을 조직하여 생산 도구와 노동력을 공유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이 과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이루어졌는데, 이는 농기구와 노동력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자 생산량이 증가했고, 그 결과 모든 가정이 이익을 얻었기 때문이다.
농업 집체화의 다음 단계는 초급 협동조합(초급 농업생산협동조합)의 결성이었다. 이 단계에서는 농민 가구들이 자신들의 토지와 생산 도구를 공동으로 사용해 농사를 짓되, 생산 도구의 소유권은 그대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소유권 덕분에, 도구를 소유한 농민 가구는 자신이 제공한 노동량에 따라 받는 몫 외에 도구 소유분에 따른 추가적인 수확 몫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졌다.
이 단계에 이르자 조합 조직은 이전보다 훨씬 더 복잡해졌다. 농민들이 조합에 참여할지 말지는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달려 있었기 때문이다. 마오쩌둥은 협동조합이 튼튼한 기반 위에 서기 위해서는 농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중국공산당의 방침은 농민들에게 협동조합 참여를 권장하되, 참여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존중하는 것이었다.
전체 농민의 65~70% 이상을 차지하던 빈농과 하층 중농은 소규모 토지는 소유하고 있었지만 생산 도구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생계를 유지할 가능성이 낮았다. 이들은 협동조합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였다. 반면 부농과 일부 상층 중농은 더 넓은 토지를 소유하고 어느 정도의 농기구도 가지고 있었으며, 일꾼을 고용하여 생산을 늘릴 수 있었기 때문에, 협동조합 참여에 반대했다.
중농들은 협동조합의 성과가 어떨지 지켜보는 입장을 취했다. 협동조합이 생산량을 증가시켜 중농들의 신뢰를 얻는 것은 조합 운동의 성공에 결정적인 요소였다. 결국 협동조합이 성과를 보이자 중농들도 점차 조합에 참여하게 되었고, 부농들은 더 이상 일꾼을 고용할 수 없게 되면서 마지못해 협동조합에 참여할 수밖에 없었다.
농민들을 협동조합으로 조직하는 일은 결코 쉬운 과제가 아니었다. 우선, 중국의 농민들은 협동하여 일해본 경험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농민들은 협동조합이라는 것이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지 전혀 알지 못했다.
협동조합 운동이 농촌 전역으로 확산되었을 때, 사람들 사이에서는 조합이 정말로 생산을 늘릴 수 있을지, 그리고 그 생산 증가가 지속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우려가 컸다. 실제로는 소수에 불과했지만, 생산량이 오히려 줄고 조직화에 실패한 사례들도 있었다.
협동조합 운동의 성공은 무엇보다도 중국공산당의 정책, 즉 빈농에 의존하고 중농을 설득하는 전략 덕분이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공로자는 대부분의 당 간부들이었다. 이들은 막 전쟁을 끝낸 상태였고, 협동조합 조직에 대해서는 거의 아는 바가 없었지만, 대부분 빈농 가정 출신이었기 때문에, 농민들의 고통과 더 나은 삶에 대한 열망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었다. 이들은 혁명 전쟁과 토지개혁을 통해 직접 목격한 공산당의 행동을 믿고, 당에 대한 깊은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헌신적이고 성실하게 노력하며 당을 도왔고, 결국 농업 집체화를 성공적으로 완수해냈다.
초급 협동조합 이후의 다음 단계는 고급 협동조합의 형성이었다. 중국의 토지 개혁과 집단화에 관한 많은 책과 논문으로 잘 알려진 작가인 윌리엄 힌튼[6]은 그의 책 "Shenfan"에서 지적했듯이, 초급 협동조합이 형성된 후 생산량이 증가하기 시작했을 때, 대부분의 증가는 농기구와 농기계의 사용보다는 더 집중적인 노동 때문이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7]대부분의 소속 농민들은 농기구 주인들이 협동조합의 증가하는 수입에서 계속 더 많은 금액을 가져가는 사실에 분개하기 시작했다. 생산적인 농기구의 주인들에게 얼마나 많은 배당금을 지급해야 하는지 정하는 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 분열을 일으켰다. 해결책은 협상을 거친 가격에 따라 일회성 지불로 협동조합이 주인들로부터 생산도구를 구매하는 고급 협동조합으로 나아가는 것이었다. 이것이 협동조합이 초급 단계에서 고급 단계로 발전한 방식이다.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고급 협동조합은 증가하는 수입에서 축적된 자금으로 더 많은 농기구를 구매할 수 있었다. 그 시점부터 중국 농촌에서는 각 농업 노동자가 기여한 노동량에 따라서만 소득이 분배되었고, 농기구(자본)는 총소득의 몫을 주장할 수 없게 되었다.
1958년 인민공사의 설립으로 농업의 집단화가 완료되었다. 인민공사는 공사, 생산대대, 생산대의 3단계 소유제도를 갖추었다. 1962년 생산대는 평균 24.9가구의 15~30 농가로 구성되었으며, 촌락 규모의 생산대대는 평균 7.9개의 생산대를, 현 규모의 인민공사는 평균 9.4개의 생산대대를 관할하였다. 각 인민공사는 농업(후에는 공업) 생산, 상업, 교육, 사회 복지, 그리고 자체 민병대를 통한 자위력을 관리하였다. 또한, 인민공사는 자체 재정을 운영하고 국가에 대한 세금 납부, 투자(종자, 새로운 농기구 및/또는 기반 시설 건설)를 위한 축적 기금, 그리고 모든 공사 구성원을 위한 복지 기금(의료, 교육, 노인 및 빈곤층 돌봄) 조성의 책임을 맡았다.[8]
생산력이 발전함에 따라 인민공사는 축적 기금을 활용하여 대규모 관개 및 배수 시설, 도로, 병원을 건설하고 대형 농업 기계를 구매했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농촌 공업화가 시작되었고 인민공사는 공장도 소유하게 되었다. 생산대대는 공장, 대형 농업 기계, 방앗간, 축산 농장, 재봉소 및 기타 시설을 건설하고 소유했다. 대대 구성원들은 이러한 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했다.
생산대는 토지와 소형 농기구를 소유했습니다. 각 생산대는 기본적인 회계 단위 역할을 했습니다. 생산대 구성원들은 생산과 분배를 책임지는 대장을 선출했지만, 다른 대원들과 함께 농업 노동을 계속했다. 국가에 세금(인민공사를 통해)을 납부한 후, 축적 기금과 복지 기금을 위해 인민공사에 지불금을 냈다. 수확기에 생산대는 노동의 연령과 강도에 따라 할당된 곡물을 대원들에게 분배했다. 그런 다음 나머지 수입은 그해 동안 각 대원이 얻은 노동 점수에 따라 대원들에게 분배되었다. 하루 노동의 가치는 작업에 필요한 체력과 기술에 따라 최소 약 5점에서 최대 10점까지 평가되었다. 다른 사람을 돕는 의지와 같은 대원들의 노동 태도 또한 하루 노동의 가치를 평가할 때 고려되었다. 각 개인이 하루 동안 얻은 노동 점수의 평가 및 사정은 모든 대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논의, 토론 및 결정되었다.
극히 빈곤한 일부 인민공사를 제외하고, 중국 농촌 지역 대부분 사람들의 삶은 극적으로 개선되었다. 생산대의 모든 구성원은 너무 어리거나, 너무 늙었거나, 또는 너무 아파서 일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생산대에서 할당된 곡물을 받았다. 식량 곡물 외에도, 구성원들은 인민공사의 복지 기금에서 지불되는 저렴한 의료 서비스와 저렴한 교육을 제공받았으며, 이 기금은 또한 어려운 가정의 주요 비용을 충당했다.[9] 더불어 국가는 농촌 지역의 교육(교사 급여 및 학교 건설) 비용뿐만 아니라 농촌에서 근무하는 교사와 의료 인력 양성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자금을 할당하였다.
인민공사의 형성은 농업 부문의 생산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혁시켰다. 이러한 생산 관계의 근본적인 변화는 중국 농업 생산력의 급속한 발전의 주요 원인이었다. 토지를 통합하고 농기구를 공동으로 사용함으로써 중국 농민들은 협력하여 토지의 질을 개선하고 농업 기반 시설을 구축할 수 있었다. 그들은 더 많고 더 나은 농기구를 구매하기 위해 더 많은 자금을 축적할 수 있었고, 토지의 비옥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했다. 화학 비료를 아직 사용할 수 없었을 때, 그들은 토양을 개선하기 위해 동물 및 인분 폐기물을 절약, 보존, 운반 및 살포했다. 농민들은 농사 계획 및 수확 작업이 한가할 때, 토지를 통합하고 평탄화하며, 작은 개울을 메우고, 구릉 지역에 계단식 밭을 조성하는 등 농업 기계화를 위한 토지 준비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했다. 많은 수의 농민들이 토지 보존 및 개선 프로젝트에 동원되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농업 생산이 더욱 안정되고 농업 노동력의 더 많은 부분을 건설 작업으로 전환할 수 있었던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가속화되었다. 그들은 또한 농한기에 토지 개량 및 기반 시설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 결과 중국 농민들의 연간 노동일수는 1950년대의 119일에서 1970년대에는 250일로 증가했다.[10]
중국 경제 전문가인 알렉산더 에크스타인은 그의 논문 "중국 발전 모델"에서 농지 기반 시설 건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는 높은 수확량과 안정적인 수확량을 달성하기 위해 노동력, 기계, 비료 및 개량된 종자 품종과 같은 적절한 투입 요소들의 조합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지역의 지리적 특징을 재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종종 토지를 평탄하게 하거나 계단식으로 만드는 것을 필요로 하며, 때로는 산을 평탄하게 하고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바구니로 흙을 수동으로 운반하여 거대한 댐을 건설하거나 일부 지역을 표토로 덮는 것을 포함한다. 많은 지역에서 이는 지하 배수관, 저수지, 운하, 관개 수로, 펌프장 및 관정[11]을 건설하는 것을 의미한다.[12]
모든 농업 노동과 기반 시설 건설 외에도, 인민공사 체제 하에 조직된 중국의 농업 생산은 농업 기술 발전을 촉진했다. 1960년대 중반 농업 발전이 안정화되자,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창출된 에너지를 바탕으로 농촌 공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60년대 중반, 농업 생산량 증가와 더불어 농촌 지역의 생산대대와 인민공사에 의해 소규모 산업들이 설립되었다. (중국 농업 성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질문 Q6를 보라.)
[1] (저자 주) Nicholas R. Lardy,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n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7-8.
[2]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이용하기 위해 지하에 뚫은 우물이나 굴착 구멍
[3] Eckstein’s original footnote: “These major 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under way for some times. They could be observed during my visit to China in December 1972. They were given a renewed impetus by the 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from Taichai held in September and October 1975 and were described in some detail in American Rural Small-Scale Industry Delegation, Rural Small-Scale Industry,” Chap- ter 5, pp. 2-5 and Chapter 6, p. 7.
- (저자 주) “Resolution of the Eigh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Eigh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Vol. I: Docu- ments, Foreign Languages Press, Beijing, 1956, p. 116를 봐라
- (저자 주) Mao Zedong, “On the Correct Handling of Contradictions Among the People,” in Selected Works of Mao Zedong, Vol. V, pp. 394-395.
- (저자 주) 같은 책, 336쪽.
- (저자 주) Su Xing, “The Two Line Struggle, Socialist vs. Capitalist, after the Land Reform” in Jing Jin Yan Jiu [Research in Economics], 1965, no. 7, p. 24.를 봐라
- (저자 주) 같은 책
- 1919~2004, 미국의 정치학자, 1937년부터 1953년까지 중국 산시성에 직접 거주하고 농업에 참여하며 토지개혁 과정을 목격했고, 미국으로 귀국한 이후에는 중국의 토지개혁 과정을 정리하여 책으로 발간했다.
- (저자 주) William Hinton, Shenfan, The Continuing Revolution in a Chinese Village, Random House, 1983, 120-121.
- (저자 주) 인민공사는 구성원의 의료비를 지불하였으므로, 구성원의 의료 치료에 대한 개인 부담 비용은 극히 낮았다. 학생들은 공책이나 연필과 같은 기본적인 학용품 비용만 지불하였다.
- (저자 주) 생산 능력을 상실한 사람이나 자녀가 없는 노인을 포함한 빈곤층 가정을 위한 다섯 가지 보장 항목은 식량, 의류, 주거, 의료 및 장례였다.
- (저자 주) Nicholas R. Lardy,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n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7-8.
-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이용하기 위해 지하에 뚫은 우물이나 굴착 구멍
- 에크스타인의 원래 각주 "이러한 주요 건설 프로젝트들은 얼마 전부터 진행 중이었다. 이 프로젝트들은 1972년 12월 내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 관찰할 수 있었다. 1975년 9월과 10월에 개최된 전국 다자이 학습 대회를 통해 새로운 추진력을 얻었으며, 『미국 농촌 소규모 산업 대표단, 농촌 소규모 산업(American Rural Small-Scale Industry Delegation, Rural Small-Scale Industry)』에서 자세히 기술되었다" Chap- ter 5, pp. 2-5 and Chapter 6, p. 7.